😀 바로 요약정리
✅ 본문 영역 상단에 의도하지 않은 공백이 들어갔는지 확인할 때
✅ 표 바깥 여백이 들어가 있는지 확인할 때
한글 문서작성이 거의 다 마무리 되었을 때 쪽 테두리/배경을 만들어서 문서를 검토하면 매우 편리해요. 인디자인(indesign)에서의 글자 잘림시 자동으로 알려주는 오류 체크 기능이 없기 때문에 쪽 테두리를 가이드라인으로 사용해보세요.
그럼 먼저 쪽 테두리를 만들어야 겠죠? 아래 그림처럼 순서대로 클릭하세요.
아래와 같이 테두리 내부의 상단영역에 비어있는 줄이 있는지 확인해서 삭제하세요.
아래와 같이 표 바깥에 생긴 여백이 보이죠? 이렇게 쪽 테두리를 만들면 발견하기가 매우 쉬어요. 이렇게 불필요한 표의 여백을 없애는 것만으로도 문서가 정렬되어 보이는 효과가 있어요.
TIP : 표가 많이 들어가는 문서의 경우 표 바깥의 여백을 없애지 않으면 전체적으로 정리되어 보이는 효과가 떨어지니, 반드시 표 바깥의 여백을 삭제하세요.
😄 결론
🔥 쪽 테두리를 가이드라인으로 이용해서 페이지 상단의 불필요한 공백과 표 바깥의 여백을 없앤다.